장애인의 학습과 성장 할
권리를 지지하는 활동
· 장애가 있는 이유로 학습할 권리를 잃고 어른이 된 사람들. 생각해 보면 사회는 더 세심히 장애인들의 학습기회를 잃지 않도록 신경 써야 했다.
· 어린 시절 학습 기회를 잃었던 장애 성인들이 지금이라도 학습할 수 있도록 그 기회를 만들어가는 단체 ‘노들장애인야(野)학’을 소개한다.
· 노들장애인야학에서 장애 성인들의 학습 활동을 풍성하게 만드는 일에는 자원활동가 교사들이 함께한다. 관심이 있다면 주저 말고 두드려 보자.
노들장애인야간학교는 교육의 기회를 놓친 장애인이 교육의 기회를 찾고, 또 기회를 확대하자는 취지 1993년에 개교했다. 한창 학습하고 성장할 시기에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제대로 된 교육조차 받지 못하고 집안에서 수인(囚人)처럼 지내야만 했던 시절도 있었다.
우리 사회에 살고 있는 450만의 장애인 중에서 학교를 다니지 못하거나 초등학교만 다닌 장애인이 60%나 된다. 국민의 ‘기본’권인 교육받을 권리는 장애인에게 더 필요할 수도 있는데 오히려 기본권으로부터 소외받고 있다. 장애가 있기에 보다 섬세해야 할 교육행정이 오히려 형식적으로 존재한다고 느껴질 정도로 장애인에게 교육의 기회는 지극히 제한되어 왔다. 장애인이 사회 구성원으로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 것은 안 그래도 힘들 수 있는데 적합한 교육기회조차 부족하니 더 힘들어 지는 것은 아닐까.
‘노들장애인야(野)학’ 차별받아온 장애 성인의 삶을 장애인 당사자가 스스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생각과 실천의 힘을 기르는 교육사업과 활동을 하고 있다. 차별을 받는 사람들과 연대하며 우리 사회 구석구석에 평등과 존엄성이 넘실대는 노란들판을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노들장애인야학의 많은 활동은 자원활동가로 참여하고 있는 교사들이 있기에 가능하다. 노들장애인야학에서 자원활동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다. 이 활동들은 노들장애인야학 홈페이지(https://nodl.or.kr/)에서 신청 가능하다.
- 야학교사 : 신임교사과정 수료이후 노들야학의 정규수업을 맡음
- 지원교사 : 상담이후 노들야학의 수업지원과 기타 다른 행사업무 등에 함께 함
『노들바람』 024 _ 김기봉
난 배우고 싶었지만 배울 수가 없었다. 나는 아직까지도 맞춤법을 잘 모른다. 내가 이렇게라도 글을 쓰는 것은 어쩌면 기적인지도 모르겠다.
내가 글을 배우게 된 건 TV가 큰 역할을 해주었다. TV를 보며 글자 한 글자를 배웠다. 지금은 보기 어려워졌지만 예전에는 자막과 음성이 함께 나왔었다.
예를 들자면 이랬다. 쇼프로그램에서 가수를 소개할 때 가수와 노래 제목을 함께 소개한다. MC의 소개와 함께 TV자막도 함께 나온다.
그렇게 한 글자 한 글자를 배우다 보니 나의 이름이라도 한 번 써보고 싶었다.
(이하 생략)
- 2023년 백일장대단하다백일장좋다백일장쭉가자 백일장 문집에서 발췌